맨위로가기

선정왕후 (신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정왕후는 고려 신종의 왕후로, 문종의 손녀이자 강릉공 왕온의 딸이다. 신종 즉위 후 원비에 책봉되었으며, 신종 사후 희종이 즉위하자 왕태후가 되었다. 어려서부터 길쌈 솜씨가 뛰어났으며, 최충헌의 난 때에도 굳건한 모습을 보였다고 전해진다. 1222년에 사망하여 진릉에 안장되었으며, 고종 때 신헌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고종은 이규보에게 그녀를 기리는 시를 짓게 했으며, 왕실의 안정을 위해 노력한 그녀를 칭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22년 사망 - 블라디슬라프 3세
    블라디슬라프 3세는 보헤미아 공작과 모라비아 변경백을 지내며 프르제미슬 왕조의 왕위 다툼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고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로 인정받았다.
  • 1222년 사망 - 알렉시오스 1세 (트라페준타)
    알렉시오스 1세 메가스 콤네노스는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시기에 트라페준타를 점령하고 트라페준타 제국을 건국한 초대 황제이며, 조지아 여왕의 지원으로 영토를 확장했지만 룸 술탄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굴곡진 통치 후 1222년 사망하여 사위에게 황위를 계승했다.
  • 고려의 왕태후 - 순경태후
    순경태후는 김약선의 딸이자 최우의 외손녀로 고려 원종의 왕비이며 충렬왕의 어머니로, 사후 왕후와 태후로 추존되었고 원나라로부터 '고려 왕비' 칭호를 받았으며 능은 강화 가릉이다.
  • 고려의 왕태후 - 안혜왕후
    안혜왕후는 고려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로 고종의 왕비가 되었으며, 고종과의 사이에서 원종 등을 낳고 1232년 사망 후 안혜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아들 원종의 즉위 후 왕태후로 추존되었다.
  • 13세기 한국 사람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13세기 한국 사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선정왕후 (신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 (남편)평량공비주 (평량공 시절)
작위 (남편)궁주 원비 (왕태자로 책봉되었을 때)
존호 (아들 고종)태상황모
시호신헌선정왕후
추가 시호신헌선정태후
생애
배우자신종
혼인1181년
자녀2남 2녀 (희종, 양양공, 효회공주, 경녕궁주)
사망일1222년 8월 17일 (음력)
능묘진릉
왕후 책봉
즉위1197년
폐위1204년
이전장선왕후
이후성평왕후
왕태후 책봉
즉위1204년 4월 1일 (음력)
사망1222년 8월 17일 (음력)
이전공예태후
이후원덕태후
재위 (희종)1204년 ~ 1211년
가계
아버지강릉공 왕온
어머니김씨
가문김씨 (공식)
왕가왕씨 (부계 및 혼인)

2. 생애

문종의 손자인 강릉공(江陵公) 왕온(王溫)과 어머니 김씨의 딸로 태어났다. 왕실과 동일한 성을 피하기 위해 모계를 따라 김씨라 하였으며, 인종의 다섯째 아들인 평량공(平諒公, 신종)과 혼인하였다.

1197년 남편 평량공이 명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원비(元妃)에 책봉되었고, 1204년 희종 즉위 후 왕태후가 되었다. 어려서부터 길쌈 솜씨가 뛰어났으며, 최충헌이 희종을 폐위했을 때에도 이로써 어려움을 견디고 근신하여 흐트러짐이 없었다고 전해진다.[12]

1222년에 승하하였으며, 고종 때인 1253년 신헌(信獻)이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능은 개성 인근의 진릉(眞陵)이다.

2. 1. 초기 생애와 혼인

문종의 손자인 강릉공(江陵公) 왕온(王溫)과 어머니 김씨의 딸로 태어났다. 왕실과 동일한 성을 피하기 위해 모계를 따라 김씨라 하였으며, 인종의 다섯째 아들인 평량공(平諒公, 신종)과 혼인하였다.[12]

어릴 적부터 성품이 바르고 밝았으며, 온화하고 조용한 행동을 했다고 한다.[3] 이후 어머니의 성씨인 김(金)씨로 성을 바꾸었다.[4] 어려서부터 길쌈 솜씨가 뛰어났다.[12]

2. 2. 왕후 시절

문종의 손자인 강릉공 왕온(王溫)과 어머니 김씨의 딸로 태어났다. 왕실과 동일한 성을 피하기 위해 모계를 따라 김씨라 하였으며, 이후 인종의 다섯째 아들인 평량공(平諒公, 신종)과 혼인하였다.

1197년 남편 평량공이 명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원비(元妃)에 책봉되었다.[5] 그녀는 신종에게 헌신적이고 덕망 있는 아내였으며, 왕의 업무를 조언하고 도왔다고 전해진다.[5] 이 때문에 두 사람의 관계는 좋고 가깝게 유지되었다고 한다.

어려서부터 길쌈 솜씨가 뛰어났으며, 최충헌이 희종을 폐위했을 때에도 이로써 어려움을 견디고 근신하여 흐트러짐이 없었다고 전해진다.[12]

2. 3. 대비 시절

1204년 4월, 남편 신종이 양위하고 아들 왕영이 새로운 왕으로 즉위하면서 대비가 되었다.[5] 최충헌희종을 폐위한 후, 조카 왕숙이 즉위했고, 그 뒤를 그의 아들 왕철이 이었다. 이 시기에 그녀는 18년 동안 대비였다.

그녀는 어릴 때부터 베 짜는 솜씨가 뛰어났다고 하며, 최충헌이 희종을 폐위시켰을 때도 어려움을 견디며 침착하게 행동하여 혼란을 겪지 않았다고 한다.[3] 그러나 최충헌이 죽은 후에는 항상 고통스러워하며 고통을 참는 방식으로 자신을 지켰다고 한다.[3] 대비로서 장추전(長秋殿)의 경흥부(慶興府)로 거처를 옮겼다. 때로는 수복전(綏福殿)의 응경부(膺慶府)가 그녀의 궁궐이 되기도 했다.[3] 강종고종이 즉위하는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왕족의 어른으로서 위엄있는 모습을 보여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

''고려사''에 따르면, 고종1123년에 태후(皇太后)의 지위를 태황태후(太皇太后)로 높였는데, 이것이 그녀(신종의 왕후)를 가리키는 것인지, 아니면 원덕태후 (강종의 왕후)를 가리키는 것인지 불분명하다. 만약 그녀였다면, 존호는 '''선정태황태후'''(宣靖太皇太后)가 되었을 것이며, '''선정황태후'''(宣靖皇太后)가 되었을 것이다.

2. 4. 사망과 추증

1222년 8월 17일(고려 고종 재위 9년)에 사망하여 개성 근처의 진릉(眞陵)에 안장되었다.[12] 이후 고종 때인 1253년 10월에 '''신헌'''(信獻)이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은 신종과 선정왕후의 둘째 아들인 양양공의 후손이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강릉공 왕온(王溫)
언니장경왕후의종의 비
광정왕후명종의 비
남동생공화후 영(恭化侯 瑛)1126~1186, 아내는 승경궁주(인종의 딸)
남편신종 왕탁(王晫)
장남희종 왕영(王韺)
차남양양공 왕서(王恕)
손자수사공 위(守司空 瑋)
수사공 병(守司空 ?)
시안공 인(始安公 絪)
영안공 희(永安公 僖)
6대손정원부원군 왕균(王鈞)
7대손공양왕 왕요(王瑤)고려 제34대 왕
장녀효회공주1183~1199, 하원공 춘(河源公 瑃)에게 하가
차녀경녕궁주회안공 정(淮安公 侹, ?~1234)에게 하가


4. 평가 및 기타

고종은 이규보에게 고모할머니인 선정왕후를 기리는 시를 쓰도록 명했다. 선정왕후는 왕실의 안정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6][7]

4. 1. 기타

고종은 그의 고모할머니를 기리기 위해 이규보에게 그녀를 기념하는 시를 쓰도록 명했다. 이 시, "대왕태후 만사"(왕태후 만사|한국어)는 ''동국이상국전집'' 제16권에 기록되었으며, 선정왕후는 생전에 "태상황모"(태상황모|太上皇母한국어)라는 존호를 받았고, 그녀의 장남은 "상황"(상황|上皇한국어), 손녀는 "왕후"(왕후|王后한국어)가 되었다고 한다. 고종은 고려의 어려운 시기 동안 정치에 관여하기보다는 왕실의 안정을 위해 노력한 그녀를 칭찬했다.[6][7]

참조

[1] 서적 고려사 1451-01-01
[2]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2014-04-14
[3] 웹사이트 신종 후비 선정태후 김씨 http://db.history.go[...] 2021-09-03
[4] 간행물 고려전기 后妃의 稱外姓 문제 2009-01-01
[5] 서적 고려사 1451-01-01
[6] 서적 국역동국이상국집, Vol. 3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al Library Publishing Association 1984-01-01
[7] 서적 Tongguk Yi Sang-guk chip Vol. 7 https://books.google[...] " ͡ơŁłƠ͡ı̕œʹ̕" 1982-01-01
[8] 문서 '《왕영 묘지명》'
[9] 문서 《동국이상국집 전집 제16권》
[10] 문서 《고려사》 권22 〈세가〉 권22 - 고종 9년 8월 임진(壬辰) 기사
[11] 문서 《고려사》 및 《고려사절요》 희종 총서
[12] URL http://people.ak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